> 종회뉴스


작성자 이재윤() 날짜
글제목 덕수이씨 약사 조회수 8498

德水李氏 略史 

1. 관향(貫鄕) : 덕수(德水)

덕수는 개성시 판문군 중면 덕수리인데 개성 부근으로 서울과 거리는 179리 이다.

고구려시절 덕물현으로 불리다가 신라 경덕왕 2년 덕수현으로 개칭되었고 고려 충선왕 2년 해풍군에 속하였다가 조선 세종 24년 풍덕군이 되었다.

1910년 국권피탈 후 개성군과 합쳐졌다가, 1930년 개성이 부로 승격되면서 개풍군이 되었다. 해방 후 남북이 갈리면서 1953년 휴전협정으로 북한에 귀속되었다.

 

2. 시조(始祖) : 이돈수(李敦守)

덕수이씨는 고려 중기 무인정권이 들어서던 시기에 덕수현에서 태동(胎動)하였다.

시조는고려 신호위 중랑장 이돈수이며 그 선계(先系)는 알지 못한다.

아들 양준(陽俊)이 신호군 중랑장 보승장군을 역임하고 1243년 별세후 은청광록대부상장군에증직되었으며, 손자 소(劭)는 지삼사사를 역임하고 1282년 별세 후 금자광록대부 상장군판예부사에 증직되었다.

증손자 윤운(允蒀)이 판도판서 상호군을 역임하고 1334년 별세한 후 첨의정승 감춘추 관사에 증직되고 덕수부원군(德水府院君)에 추봉되면서 후손들이 관향을 덕수로 하고 이돈수를 시조로 받들고 있다.

 

3. 가문의 영광

덕수이씨는 영의정 3명, 좌의정 4명, 대제학 6명, 공신 5명, 공훈 10명, 청백리 6명, 시호 25명, 봉군 17명, 불천지위 7명, 정려 충신 4명, 효자 14명, 효부 12명, 열부 5명, 서원, 향사 배향14명, 문과급제 고려조 4명, 조선조 107명, 무과급제 423명, 건국훈장 포상 17명이 배출되었다.

4세 첨의공 윤운(允蒀)이 1249년 출생하여 판도판서를 역임하고 1334년 86세로 별세한 후첨위정승 덕수부원군에 추봉되었으며, 도사공 윤번(允蕃)은 1265년 출생하여 1309년 문과 급제 후 도사를 역임하였다.

5세 양간공 천선(千善)은 1360년 금자광록대부에 올라 수사공주국(守司空柱國)이 되고 낙안백(樂安伯)에 봉 해젔으며, 양간(良簡)이라 증시되었다. 1392년 조선조에 들어와 7세 집의공 모는 문과 급제 후 집의를지냈고, 춘당공 양(揚)은 고려조에서 사마시에 급제한 후조선조에서 사헌부 감찰을 지냈으며 태종 즉위전 동갑계원으로 정난에 참여하였고 공조참의를역임하고1447년 81세에 별세한 후 공조판서에 증직되었다. 삼종인 정정공 변(邊)이 대과 급제 후 대제학, 공조판서를역임하고 영중추부사에 올라 사역원 도제조를 지낸 후 1473년 83세로 별세하는 등 지위를세상에 드러내면서 반열(班列)에 올랐다.

덕수이씨는 중종-영조대 300여 년간 문무를 겸비한 가문으로 성세를 보였는데 10세 연헌공 의무(宜茂), 참의공 거(琚)등 10여명이 대과에 급제하고 해풍군 함(菡), 하원군 심 형제가 공신이 되고 기묘명현 풍암공 백록(百祿), 수사공 울(菀)등 이름난 학자와 높은 관직에오른 사람이 연이어 나오면서 문벌(門閥)이 되었다.

그 후 도학에 사림정치의 이상을 구현한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태두 율곡공 이(珥), 무열에 임진왜란을 맞아 존망지추의 위난에서 나라를 구한 민족의 성웅 충무공 순신(舜臣)이

전후하여 나오고, 동방시성(東方詩聖) 동악공 안눌(安訥) 한문사대가 택당공 식(植)등이

가성(家聲)을 빛내어 명문의 토대를 튼튼히 하였다.

그 후 16세 외재공 단하(端夏) 좌의정, 정익공 광하(光夏) 한성판윤, 17세 수곡공 여(畬) 영의정, 취촌공 집 좌의정, 18세 목곡공 기진(箕鎭), 탄옹공 주진(周鎭) 이조판서, 19세 첨재공 은(溵) 좌의정, 20세 정수재 병모(秉模) 영의정 등 뛰어난 학자와 상경(相卿)에 오르는 사람이많이 나오니 정조대왕의 홍재전서(弘齋全書)에 “아국망족선수 덕수지이(我國望族先數 德水之李)”라 하였다.

무열에서도 뛰어난 사람이 많아 423명이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충무공 순신(舜臣), 강민공완(莞), 충민공 봉상(鳳祥), 충숙공 홍무(弘茂)가 충신으로 정려되었고, 초대 삼도수군통제사에충무공이 보임된 후 직계 후손에서 충민공 봉상(鳳祥)등 12명이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조국의 바다를 지켰다.

조선조 말엽에는 19세 유수(惟秀), 20세 익모(翊模), 21세 노춘(魯春), 노익(魯益), 노병(魯秉), 원희(元熙), 용희(容熙), 22세 규석(奎奭) 등이 판서로, 21세 복희(宓熙), 22세 규안(奎顔) 등이 판윤으로, 20세 승권(升權), 항권(恒權)이 통제사를 역임하는 등 문무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가성(家聲)을 이었다.

민족의 수난기인 일제 36년 식민치하에서는 단 한명의 매국인사도 없었으며 실곡공필희(弼熙), 우풍공 규풍(奎豊), 괴은공 춘영(春永) 등 17명이 항일운동을 주도한 공으로 국가로부터 건국훈장을 추서 받았다. 

특이한 사항 몇 가지를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10세 풍성군 의번(蕃)의 삼남 해풍군 함(菡), 사남 하원군 심, 형제가 중종반정 시 유공으로 병충분의 정국공신이 되어 부친도 풍성군에 추증되었다.

 

10세 연헌공 의무(宜茂)는 대과에 급제하고 동국여지승람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아들 5형제가 모두 대과에 급제하여 현달하였으니 장남 권(卷)은 절도사, 차남 기는 영의정 덕풍부원군, 삼남행(荇)은 좌의정, 사남 령(苓)은 군수, 막내 미(薇)는 판서를 지냈다.

 

12세 충무공 순신(舜臣)은 덕연군 정(貞)의 삼남으로 출생하여 여러 관직을 거처 삼도 수군통제사로 재임 중 순국하여 선무1등공신, 덕풍부원군에 봉해졌고 현충사등 20개 향사, 사우에배향되었고, 매년 국가, 해군, 지방자치단체 주관으로 제향을 올린다.

 

13세 율곡공 이(珥)는 감찰공 원수(元秀)와 신사임당의 삼남으로 태어나 학문을 깊이 연구하여 민생문제와 직결시켰고 당쟁의 조정, 대동법과 사창의 실시 등 많은 업적을 남겼으니율곡은 조선이 낳은 위대한 철인이요, 도학자였으며, 정론가요,교육자이자 경세가(經世家)이다.

이조판서, 우찬성을 역임하고 별세하니 청백리에 녹선되고 종묘(선조실), 문묘, 자운서원 등 30개소의 서원에 배향되었고 파주시청 및 강릉시청 주관해 매년 추모제를 올린다.

아우인 옥산공 우(瑀)는 어머니의 예술적 재능을 이어받아 시, 서, 화, 금에 능하여 사절(四絶)로 불리었다.

 

13세 순천공 통(通)은 1603년 순천 등 4개 군읍을 맡아 다스리면서 치적이 뛰어나 왕으로부터 칭찬을 받았으며 장남 경안(景顔) 정언, 차남 경민(景閔) 출계하여 증 좌의정, 삼남 경용(景容) 전라감사, 사남 경헌(景憲) 병조판서, 막내 경증(景曾) 이조판서로4형제가 문과에

급제하여 영현의벼슬에 올랐다.

 

14세 동악공 안눌(安訥)은 양관 제학, 예조판서를 역임했고 아들 대산공 합(柙) 대사간, 장손 정익공 광하(光夏) 한성 판윤, 취촌공 집 좌의정, 탄옹공 주진(周鎭) 이조판서, 첨재공은(溵) 좌의정까지 6대를 장남으로 이어오면서 문과에 급제하고 정1품 2명, 종1품 2명, 정2품 1명, 정3품 1명을 배출하여 대를 이여 현달하였다.

 

15세 택당공 식(植)은 이조판서, 4전문형을 역임했고, 삼남 외재공 단하(端夏) 좌의정, 손자 수곡공 여(畬) 영의정까지 3대가 대제학을 지냈고, 5대손인 정수재 병모(秉模)가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특히 택당공의 고조부 행(荇), 택당공 식(植), 삼남 단하(端夏)등 3명은 정2품으로 보임하는 양관 대제학에 정3품에서 임명되었으니 문명(文名)이 높았음을알 수 있다.

부모에 효도한 사람도 많아 효자, 효부, 열부로 정려된 사람이 31명이며, 이효증직(以孝贈職)된 사람이 11명인데 특히 12세 청곡공 학수(鶴壽) 및 직계후손 장죽공 탱(樘), 종윤(宗胤)의 배위 관성전씨, 참판공 정철(廷喆), 행당공 복초(復初), 배위 구례장씨, 월주공 만춘(萬春), 인암공 채(埰)가 부모에 효하여 정려받아, 6대 8효(六代八孝)하여 나라에서 1764년 충북 영동군 원당리에 정려각을 세웠다.

 

구휼(救恤) 부문에서 13세 부계공 서(漵)는 탄옹공 주진(周鎭)의 셋째아들로 출생하여, 1776년 대구판관 재임 시 홍수로 시가지가 침수되어 주민피해가 극심한 것을 보고 사재(私財)를들여 신천을축조하여 주민의 안녕을 도모하니, 그 제방 이름을 이공제(李公堤)라 명하고부계공원에 공덕비를 세웠으며 매년 1월 15일 대구시 주관으로 추모제를 올린다.

 

상주인구 현황은 2000년 인구조사 결과 가구수가 15,711가구이며, 50,486명이 살고 있어 인구 순위는 137위이며 점유비는 0.10978%이다.

그 외 자세한 사항은 대종회 홈페이지(www.deoksoolee.or.kr) 또는 문정공 종회 홈페이지(www.덕수이씨.kr)의 덕수인명록(德水人名錄)참조.

 

4. 보책(譜冊)의 간행

15세 택당공 식(植)이 고조 용재공 년보와 율곡공 가전세계를 참고하여 중랑장 이돈수를 시조(始祖)로 하는 세계(世系)를 확립하고 13분 직계선조의 세계열전(世系列傳)을 지었고, 삼남 외재공 단하(端夏)는 10분 선조의 방친열전(傍親列傳)을 지었고 판윤공광하(光夏)의세고(世稿)와 합본하였다.

그후 1712년 17세 수곡공 여가 영의정 재임 시 보사를 이끌고 16세 참판공 희무 (喜茂), 감사공 탄(坦) 부자(父子)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1713년 최초로 세보(壬辰譜)를 간행하였다.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여러 차례 세보를 다시 만들어, 2001년 7월에 9간 세보(辛巳譜) 및증보 세계열전을 국역하여 간행하였다.

1986년 종보(宗報)를 창간하여 계간(季刊)으로 발행, 종인에게 공급하고 있으며, 2005년 10월 1일 소종회 홈페이지의 대종회사항을 한데 모아 대종회홈페이지를 개설하였으며, 2006년 10월 5일 선조의 유적을 수록한 덕수이씨 800년사를간행하였다.

 

5. 종회활동

1959년 4월 26일 대종회(大宗會)를 창립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별 지부(支部)와 소파별로 소파종회(小派宗會)가 조직되어있다.

대종회 사무소 : 서울 종로구 창신동 197-2번지 삼미빌딩 3층

           전 화 : 02-3675-1122, 팩 스 : 02-3675-1123

      홈페이지 : www.deoksoolee.or.kr

소종회 홈페이지

    승지공종회 : www.duksoolee.or.kr             수사공종회 : www.susagong.kr             정재공종회 : www.duksoolee.com          

    문정공종회 : www.덕수이씨.kr                   미주 종회 : www.duksoolee.usa.com

    충무공종회 : www.choongmoogongleesoonsin.co.kr

 

6. 집성촌

   개성 판문군 중 면 덕수리 충북 영동군 양산면 원당리

   경기 파주시 파평면 일원 충남 당진군 송산면 일원

         성남시 고등동 일원 아산시 음봉면 일원

         양평군 양동면 일원 전북 김제시 금산면 용산리

         용인시 기흥읍 영덕리 경남 거창군 주상면 완대리

  강원 정선군 임계면 일원

 

7. 항렬(行列) 권정기(圈定記)                      1830년 제정

23世

24世

25世

26世

27世

28世

29世

30世

31世

敏ㅇ

ㅇ永

種ㅇ

火변

ㅇ烈

載ㅇ

ㅇ鏞

浩ㅇ

ㅇ相

愚ㅇ

32世

33世

34世

35世

36世

37世

38世

39世

40世

ㅇ均

錫ㅇ

ㅇ承

寅ㅇ

ㅇ勳

時ㅇ

ㅇ鉉

泰ㅇ

 

 

비 고

1. 26世는 庚寅譜에 [憙]로 제정한 것을 茂戌譜에 [火변]로 개정하였다. 그러나 派에 따라 行列字가다 다르니 竹谷 4兄弟派는 주로 [○憙, ○熺]로, 容濟公派 各派에서는 주로[火변]字로, 아산 광주 등지에서는 주로 [○烈]로 작명하며 기타 [○煥] [○燮]등 行列字가 제일 혼미한 세대이다.

2. 28世는 당초[○鏞]으로 제정한 것을 庚午譜에 [金변]字로 개정하였으나 大槪 單字 作名을 忌하여[○鏞]으로 시행하고 있으므로 [金변]字는 이를 廢棄한다.

3. 30世는 [○榮]이 처음 제정한 字이나 [○永]과 音이 相似하므로 庚午譜에 [○相]으로 개정 실행 하고 있다.

4. 31世는 [○逵]가 처음 제정한 字이나 [達]字와 혼동되기 쉬우므로 庚子譜에 [○均]으로 개정한 것이다.

5. 行列字 中 거의 완전 통일된 것은 25世 [種○]이니 他姓의 行列에도 희귀한 관계로 德水李氏의 대표적 行列字가 되었다.

6. 참고로 先數 三代의 行列 字를 살펴보면 22世는 [○信. 奎○] 21世는 [魯○,○熙, 日변], 20世는

[○彬. ○模. ○權], 19世는 [氵변. ○秀. 正○. 亻변]字 등이 주요한 行列이다.